인접면 및 이차 우식증, 오산역 치과 에서 충치 치료 사례

안녕하세요.

오산역 치과 서성용입니다.

https://naver.me/59vQNGdw

충치가 심하거나 손상되었다면

충치치료를 받게 됩니다.

충치는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난 후 아말감이나

인레이 등으로 마감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구적인 재료들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우식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인접면 및 이차 우식증이 뭔지

이번 사례를 통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초진

2024. 03. 15

예전에 치료 했던 크라운

보철물 주변으로 이차 우식을

확인했습니다.

『 이차우식(secondary caries)이란? 』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자주 일어나게 되죠.

1️⃣ 이전 충치가 전부 없어지지 않았을 때

2️⃣ 보철물과 치아 표면 사이에

적합도가 떨어져 틈이 생겼을 때

3️⃣ 너무 오랜 기간 교체하지 않고 사용했을 때

4️⃣ 기존에 치료받았던 곳이 오래되어 탈락했을 때

2024. 03. 15

뿐만 아니라 오산역 치과 에서 확인해 보면

오래된 아말감은 틈이 점점 벌어져

틈 사이로 우식이 진행되고 있었는데요.

오산역 치과 에서 염증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CT를 확인해 봤습니다.

2024. 03. 15

뿌리 끝 염증이 진행된 상태여서,

신경치료를 통해 크라운 수복을 통해

어금니 치료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 전치부를 살펴봤습니다.

오산역 치과 에서

전치부를 살펴보면

인접면 우식증 또한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2024. 03. 15

사진을 보면

치아 사이에 충치가 보입니다.

오산역 치과 에서는 인접면 충치 또한

정확한 범위를 알기 위해

엑스레이를 찍어봤습니다.

2024. 03. 15

생각보다 깊게 충치가

진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앞니 또한 근관치료를 하고

크라운 수복을 계획했습니다.

| 치료 과정

먼저 오산역 치과 에서는

어금니 보철 제거를 했습니다.

2024. 03. 15

기존에 크라운 치료했던 부분이

탈락이 되었고, 우식이부위가

치은부 하방까지 진행된 상태입니다.

2024. 03. 22

​겉면에 있는 충치를 깔끔하게 제거해 주었고,

근관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 03. 22

전치부 또한 크라운 수복을 위해 쉐이드

체크 후 충치를 제거하고

크라운 수복을 도와드렸습니다.

2024. 04. 09

크라운 프렙을 진행 후

주변 형태에 맞게 크라운을

수복 후 치료를 마쳤습니다.

2024. 04. 16

| 마치면서

오랜 기간 구강검진을 받지 않아

인접면 및 이차 충치

치료 과정입니다.

우식증은 치아 곳곳에 나타날 수 있으며

구강보건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확인되지 않는

치아 사이 인접면에 경우 6개월에 한 번씩 확인하여

구강건강을 지키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따라서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6개월 혹은 12개월에 한 번씩은

구강검진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산역 치과 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
You may use these <abbr title="HyperText Markup Language">HTML</abbr>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

Copyright © 2025 이포유치과. All Right Reserved.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