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면 및 이차 우식증, 오산역 치과 에서 충치 치료 사례
안녕하세요.
오산역 치과 서성용입니다.
충치가 심하거나 손상되었다면
충치치료를 받게 됩니다.
충치는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난 후 아말감이나
인레이 등으로 마감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구적인 재료들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우식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인접면 및 이차 우식증이 뭔지
이번 사례를 통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초진

2024. 03. 15
예전에 치료 했던 크라운
보철물 주변으로 이차 우식을
확인했습니다.
『 이차우식(secondary caries)이란? 』
기존에 진료를 받았던 곳에
또다시 충치가 생기는 것을 뜻합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자주 일어나게 되죠.
1️⃣ 이전 충치가 전부 없어지지 않았을 때
2️⃣ 보철물과 치아 표면 사이에
적합도가 떨어져 틈이 생겼을 때
3️⃣ 너무 오랜 기간 교체하지 않고 사용했을 때
4️⃣ 기존에 치료받았던 곳이 오래되어 탈락했을 때

2024. 03. 15
뿐만 아니라 오산역 치과 에서 확인해 보면
오래된 아말감은 틈이 점점 벌어져
틈 사이로 우식이 진행되고 있었는데요.
오산역 치과 에서 염증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CT를 확인해 봤습니다.

2024. 03. 15
뿌리 끝 염증이 진행된 상태여서,
신경치료를 통해 크라운 수복을 통해
어금니 치료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 전치부를 살펴봤습니다.
오산역 치과 에서
전치부를 살펴보면
인접면 우식증 또한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2024. 03. 15
사진을 보면
치아 사이에 충치가 보입니다.
오산역 치과 에서는 인접면 충치 또한
정확한 범위를 알기 위해
엑스레이를 찍어봤습니다.

2024. 03. 15
생각보다 깊게 충치가
진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앞니 또한 근관치료를 하고
크라운 수복을 계획했습니다.
| 치료 과정
먼저 오산역 치과 에서는
어금니 보철 제거를 했습니다.

2024. 03. 15
기존에 크라운 치료했던 부분이
탈락이 되었고, 우식이부위가
치은부 하방까지 진행된 상태입니다.

2024. 03. 22
겉면에 있는 충치를 깔끔하게 제거해 주었고,
근관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2024. 03. 22
전치부 또한 크라운 수복을 위해 쉐이드
체크 후 충치를 제거하고
크라운 수복을 도와드렸습니다.

2024. 04. 09
크라운 프렙을 진행 후
주변 형태에 맞게 크라운을
수복 후 치료를 마쳤습니다.

2024. 04. 16
| 마치면서
오랜 기간 구강검진을 받지 않아
인접면 및 이차 충치가
치료 과정입니다.
우식증은 치아 곳곳에 나타날 수 있으며
구강보건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확인되지 않는
치아 사이 인접면에 경우 6개월에 한 번씩 확인하여
구강건강을 지키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따라서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6개월 혹은 12개월에 한 번씩은
구강검진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산역 치과 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