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역 치과 “뿌리에 염증이 있고 보철이 파절됐다면?” 임플란트 식립으로 개선하는 과정 알아보기

안녕하십니까.

오산역 이포유 치과 서성용 원장입니다.

보철에도 수명이 있다는 거 알고 계시나요?

고정성(크라운, 브리지, PFM)은 7~8년,

가철성 파샬덴처는 7년 정도,

무치악 덴처는 6년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 오산역 치과 에서 설명해 드릴

내용은 보철이 파절되고 뿌리에 염증이 있을 때,

티타늄으로 제작된 인공치근(픽스처)

를 통해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예시 사진을 보며 말씀드리겠습니다.

파노라마 엑스레이 촬영본을 보면

아래턱 우측을 보면 1대구치 뿌리에

염증이 보이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좌측에 브릿지로 연결된 곳을 보면

PFM이었으나 도자기 부분이 깨어져 나가서

내부에 메탈 재질이 드러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근단 사진을 확인해 본 결과

뿌리에 무리가 갔었는지 치근에 우식과

염증이 생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점 확인을 통한 예상 개선 계획 수립

개선과정

해당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치료가 시급한 좌측부터 이를 뽑고

즉시 임플란트를 심기 위해

자세한 데이터를

CBCT를 통해 확보해주게 됩니다.

CT를 통해 데이터를 확인했을 때

잔존 골량도 충분하고

골폭도 넓다면, 충분히

심을 수 있겠습니다.

36번 자리와 37번 자리에 심고

그다음 반대편의 캔틸레버 브릿지를 관찰해보니

파손되어 내부 메탈이 드러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 역시 최후방에 픽스처를 식립하기 위해

CBCT를 촬영하여 정밀한 데이터를

확보해주는 것으로 과정이 진행됩니다.

이쪽 역시 골폭도 넉넉하고

잔존골량도 많아서 심기 좋아보이나,

상부에 뾰족하게 쌓여있는 뼈는,

어버트먼트 체결 시 걸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리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픽스처를 식립하고

Healing abutment(치유지 대주)

를 체결하여 회복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후 충분한 시간이 흘러

뼈와 픽스처가 화학, 물리적

결합을 이루었을 때,

치유지대주를 크라운을 연결할수 있는

어버트먼트로 교체하여

미리 제작해둔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씌우면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우식이 심하고 염증이 생긴

치아를 빼고 즉시 임플란트를 심고,

캔틸레버 브릿지를 임플란트로 바꾸어 식립하여

치아 수명을 연장시키는 과정을 예시 사진과 함께

설명 드렸습니다.

이포유 서성용 원장 이었습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
You may use these <abbr title="HyperText Markup Language">HTML</abbr>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

Copyright © 2025 이포유치과. All Right Reserved.
BACK TO TOP